top of page

권수연

KWON SOO YEON

작가노트

우리는 하루 중 많은 시간을 의자에 앉아 보낸다. 그만큼 우리의 삶에 밀접한 의자는 인체를 닮아 디자인될 뿐 아니라, 앉아있던 사람의 내면의 생각과 감정까지 고스란히 담아낸다.

어느 공간에 있든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의자를 찾는다. ‘나의 자리’를 찾는 것이다. 개인의 공간에 있는 의자 뿐 아니라 공공장소에서도 마찬가지며 앉아있는 동안 그 의자에는 누구도 함부로 앉지 않기에 ‘내 의자’인 셈이다. 이런 관점에서 의자는 매우 개인적인 사물이며, 그 의자에 앉아있는 사람을 닮는다.

사람들에겐 저마다 ‘나의 의자’가 있다. 내겐 덴마크 디자이너인 아르네 야곱센의 ‘다리가 세개인 앤트체어’가 그러하다. 앤트체어는 출시 당시 다리가 세개인 의자로 만들어졌으나 의자다리를 네개로 변경하고 나서야 판매가 잘 되었다고 한다. 나는 위의 이야기에서 의자다리가 세 개에서 네 개로 변경된 이유는 다양하지만 그중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와닿았고, 다리가 세개인 앤트체어의 히스토리가 사회 안에서 소위 대중적이고, 일반적인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 속에 조금은 다른 삶을 살아가는 한 명의 예술가,즉 ‘나’로 느껴졌다.

그러나 이 의자는 비단 나 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도 해당된다. 우리는 대체로 어떤 집단 속에서 사회적인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지만, 각자 내면에 다름을 품고 살아가기 때문이다. 우리는 그 모습을 감춘 채 보통의 삶을 살아갈지, 소수의 삶을 살아갈지 끊임없이 선택하며 살아간다. 대다수의 사람들로 살아가는 것, 소수로 살아가는 것, 그 어느 것도 정답은 없지만 결국 그럼에도 우리는 함께 살아가고 있고, 나는 그런 다름이 공존하는 우리의 삶을 작품에 담고자한다.

작가사진.jpg
Untitled,22x27.3cm,Acrylic on wood,2024(1).jpeg

Untitled, 22x27.3cm, Acrylic on wood, 2024

Untitled,22x27.3cm,Acrylic on wood,2024 (2).jpeg

Untitled, 22x27.3cm, Acrylic on wood, 2024

bottom of page